반응형
1. RAID의 개념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약자로
단어 그대로 여러 하드 디스크들의 배열을 의미합니다.
즉, 이 하드 디스크들을 조합하여 데이터의 안정성을 높이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그렇다면 왜 서버에서 RAID를 사용할까요?
너무나도 당연한 얘기지만, 이 세상의 무수한 데이터들
하다못해 핸드폰 갤러리 속 사진들도 매우 중요한
데이터들인데 어떠한 이슈로 인해 추억들이 한 순간에
사라진다면 이보다 슬픈 일은 없을 것입니다.
이처럼 하드 디스크의 데이터 손실 위험을 줄이고,
성능을 개선하며, 데이터의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RAID라는 기술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범위는 서버 혹은 스토리지 파트에 모두 속합니다.
2. RAID의 종류 및 비교
2-1. RAID 0(스트라이핑)
- 방식: 데이터가 여러 디스크에 분할 저장
예를 들어, 5개의 디스크가 있다면, 데이터는 5개의 디스크에
각각 나누어 저장, 각 디스크에 순차적으로 데이터 블록이 기록됩니다. - 장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기 때문에, 읽기 및 쓰기 속도가 빨라집니다.
- 단점: 하나의 디스크라도 고장 나면 전체 데이터가 손실됩니다.
데이터 복구 기능 또한 없습니다. 이러한 내구성이 안좋은 단점이 있습니다.
2-2. RAID 1(미러링)
- 방식: 데이터가 두 개 이상의 디스크에 동일하게 복제됩니다.
즉, 모든 데이터가 똑같이 동기화 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장점: 하나의 디스크가 고장 나더라도 다른 디스크에 동일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데이터 손실이 없습니다. - 단점: 반면, 두 개의 1TB 디스크를 사용하면, 1T x 2 = 2T가
아니라 실제로는 1TB의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의 용량이 반으로 줄어듭니다.
2-3. RAID 5(스트라이핑 + 패리티)
- 방식: 데이터와 패리티 정보가 여러 디스크에 분산 저장됩니다.
여기서 패리티는 데이터 복구를 도와주는 정보로,
RAID 5에서는 이 패리티 정보가 모든 디스크에 분산되어 저장됩니다.
주로, DB 서버나 파일 서버에서 사용합니다. - 장점: 하나의 디스크가 고장 나더라도 패리티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 복구가 가능합니다. 디스크 수에 비례하여 저장 용량이 절약됩니다. - 단점: 패리티 계산으로 인해 성능이 약간 떨어질 수 있습니다.
쓰기 성능이 특히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4. RAID 6(스트라이핑 + 패리티)
- 방식: 방식은 RAID 5와 유사하지만, 패리티 데이터를 두 개의
디스크에 저장. 이렇게 하면 두 개의 디스크가 동시에
고장나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주로, 데이터센터에서 해당 방식을 사용합니다. - 장점: RAID 5보다 더 높은 데이터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두 개의 디스크가 고장나도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습니다. - 단점: 쓰기 성능은 RAID 5보다 더 느리며, 패리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더 많은 디스크 공간 필요.
2-5. RAID 10(RAID 1 + RAID 0)
- 방식: RAID 1과 RAID 0의 결합, 데이터 미러링 후,
스트라이핑합니다. 즉,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복제한 후
이를 여러 디스크에 나누어 저장합니다. - 장점: RAID 0의 성능과 RAID 1의 안정성을 결합하여
높은 성능과 데이터 보호 기능을 모두 제공합니다.
읽기 및 쓰기 성능이 모두 뛰어나며, 디스크 하나가
고장나도 데이터 손실이 없습니다. - 단점: 디스크 공간 효율이 RAID 1과 비슷하게 낮습니다.
두 배의 디스크가 필요합니다.
혹여 잘못 전달된 포스팅은 꼭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Server] > 서버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blic Cloud, Private Cloud, On-Premise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0) | 2025.01.12 |
---|---|
서버 스케일 업(Scale Up)과 스케일 아웃(Scale Out)은 무엇일까? (0) | 2024.09.01 |